본문 바로가기
통계이야기

우리나라 결혼식 문화, 과도한 편일까요? 간소한 편일까요?(결혼식 문화에 대한 인식)

by 통계왕 통선생 2024. 5.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통계 읽어주는 남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의 결혼식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통계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결혼식!!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이벤트 중의 하나죠.

사랑하는 남녀가 만나 많은 사람의 축복 속에서 사랑의 서약을 맺는 결혼식, 

결혼식의 중요성은 동서양과 고금을 막론하고 매우 중요한 행사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우리나라의 결혼식 문화는 어떠한가요?

모두가 다 그렇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결혼식 준비 과정을 떠올려볼께요.

 

먼저 양가 상견례를 하구요, 결혼식장을 예약합니다. 

결혼식장도 웨딩전문업체부터, 호텔 예식장까지 너무너무 다양하지요.

그 후 신랑, 신부의 드레스 및 메이크업 업체를 선정하고, 또 웨딩 스튜디오 촬영을 정합니다.

양가에서 오고가는 혼수와 예단, 예물 등도 빠질 수 없구요.

결혼식 당일에도 결혼을 축하하러 와주신 분들의 축의금을 정산해야 하고,

또 신혼여행도 미리미리 준비해야 하지요.

이러한 준비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도 상당한 편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우리나라의 결혼식 문화를 사람들은 어떻게 인식할까요?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통계청

 

 

가장 최근 자료인 2022년의 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결혼식 문화에 대하여 '간소하다', '보통이다', '과도하다', '모르겠다'로 답변할 수 있는 문답이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결혼식 문화가 '과도하다'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무려 73.1%나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나라의 결혼식이 과도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결혼식 문화가 '간소하다'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5.1%에 불과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부분은 우리나라의 결혼식 문화가 '과도하다'라고 생각합니다.

결혼 전과 후의 수많은 절차와 그 비용들이 결혼식 문화를 과도하게 생각하는 원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요즘에는 스몰 웨딩을 하는 분들도 많더라구요.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결혼식 문화도 어떤 변화를 맞이하지는 않을까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