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통계 읽어주는 남자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통계자료를 통해 세상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일본 출신 연예인 사유리를 아시나요?
사유리는 결혼을 하지 않고 자녀를 가져서 크게 화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사유리는 대표적인 자발적 비혼모입니다. 넓은 의미로는 미혼모라고도 할 수 있지요.
미혼모란, 결혼하지 않았는데 아이를 낳아서 어머니가 된 여성을 말합니다.
남성인 경우에는 미혼부라고 할 수 있겠지요.
특히 사유리 씨의 경우에는 특별히 이를 초이스 맘(choice mom)이라는 용어로 설명을 하더라구요
초이스 맘이란 '선택에 의한 한부모(single mother by choice)'를 줄여 부르는 말인데요,
결혼을 하지 않고 아이를 낳거나 아이를 입양해 키우는 여성을 뜻합니다.
전통적인 가족 형태가 아닌 새로운 가족의 형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결혼을 하지 않고 자녀를 가지는 것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여러분은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통계청 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

통계청에서는 2008년부터 최근인 2022년까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에 대한 의견을 조사해오고 있습니다.
2008년,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라는 의견에 동의하는 비율은 21.5%에 불과합니다.
이 때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미혼모 혹은 미혼부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최근인 2022년의 인식은 어떨까요?
2022년,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라는 의견에 동의하는 비율은 34.7%로 증가하였습니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미혼모, 미혼부에 대한 인식이 다소 긍정적으로 변화해온 것이죠.
그러나 아직도 65%의 사람들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지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입니다.
보수적인 우리나라의 특징을 보여주네요.
아시다시피 우리나라의 혼인율은 매년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비혼' 전성시대라고 할 수 있지요.
심각한 우리나라의 결혼율(혼인율) 변화 - 결혼하지 않는 청년들
심각한 우리나라의 결혼율(혼인율) 변화 - 결혼하지 않는 청년들
안녕하세요. 통계 읽어주는 남자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 부부의 평균 결혼 연령에 대해 알아보았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의 결혼율에 대해 살펴보려고 해요. 요즘 우리나
life-answer-sheet.tistory.com
이로 인해 미혼모와 미혼부, 특히 자발적인 비혼모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입니다.
결혼을 원하지는 않지만 자녀는 원하는 경우의 비혼주의자도 있거든요. 사유리씨 처럼요.
따라서 자발적 비혼모나 비혼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통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별로 알아보는 출산에 대한 생각(자녀 출산은 필수?) (0) | 2024.05.20 |
---|---|
우리나라 결혼식 문화, 과도한 편일까요? 간소한 편일까요?(결혼식 문화에 대한 인식) (0) | 2024.05.17 |
혼전동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혼전동거 인식에 대한 통계) (0) | 2024.05.13 |
남자와 여자의 기대수명 비교(남자가 오래 살까요? 여자가 오래 살까요?) (0) | 2024.05.10 |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대수명은 몇 세일까요? (0) | 2024.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