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이야기

부잣집 아들은 부모님과의 관계가 좋을까요?(소득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by 통계왕 통선생 2024. 6.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통계 읽어주는 남자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부모님의 나이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를 살펴보았습니다.

 

2024.05.30 - [CATEGORIES] - 부모의 나이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부모의 나이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안녕하세요. 통계 읽어주는 남자입니다.지난 포스팅에서는 나이별, 가구소득 별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를 살펴보았습니다. 나이가 많으면 부부관계가 좋지 않을까요? (나이별 부부관계 만족

life-answer-sheet.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건을 바꾸어, 소득에 따른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를 알아보려고 해요.

돈이 많은 부자들은 자녀와의 관계가 좋을까요?

바꾸어 말하면, 가난한 부모는 자녀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까요?

통계를 통해 사실 관계를 파악해보겠습니다.

 

 

출처: 통계청

 

통계청에서 발표한 가구 소득에 따른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입니다.

 

그래프의 초록색 부분을 잘 보세요.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그래프의 초록색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볼께요.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 자녀와의 관계를 만족하는 비율은 66.4%입니다.

소득이 점점 증가하면서, 자녀와의 관계를 만족하는 비율도 증가하구요.

600만원 이상의 고소득 가구의 경우에는 자녀와의 관계를 만족하는 비율이 무려 85.3%입니다.

100만원 미만일 때와 비교해보면, 18.9%나 차이가 납니다.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자녀와의 관계를 만족하는 비율도 증가합니다.

 

 


 

부자일수록 자녀와의 관계가 좋다는 것을 통계를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조금 씁쓸하기도 하고, 또 지극히 현실적이기도 하네요.

자녀와의 관계에 있어 부모의 재력, 부모의 소득이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입니다.

 

자녀를 양육하는 방식에 따라 그 비용은 천차만별입니다.

어떻게 키우냐에 따라 들어가는 돈이 많이 다릅니다.

좋은 옷, 좋은 음식, 좋은 교육을 제공하려면 수많은 돈이 필요하겠지요.

돈이 많을수록 자녀에게 제공하는 것이 많으니까, 자연스럽게 자녀와의 관계도 더 좋아지는 겁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많은 가구는 여행도 많이 다니고,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도 많겠지만,

소득이 적은 가구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형편이다보니 여행 한번 가기가 쉽지 않지요.

그러한 것들이 축적되어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요즘, 자녀를 낳지 않는 가정이 굉장히 많습니다.

이른바 딩크족이라고 하죠?

그 원인 중의 하나가 바로 '경제력'입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다보니, 차라리 아이를 낳지 않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이렇게 보면, 참 자녀를 낳고 키운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입니다.

 

 

소득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를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