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통계 읽어주는 남자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재미있는 통계자료들을 통해 세상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시도의 인구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그에 앞서서, 먼저 우리나라의 총인구 변화를 지난 포스팅에서 보았는데요.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1945년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대단히 충격적인 사실이지요.
2024.02.21 - [통계 답안지] - 충격적인 우리나라의 총 인구 변화
충격적인 우리나라의 총 인구 변화
안녕하세요. 통계 읽어주는 남자입니다. 다양한 통계자료를 통해 우리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의 인구 변화를 살펴보려고 해요. 요즘 많은 언론에서 우
life-answer-sheet.tistory.com
따라서 우리나라의 주요 지역들도 기본적으로는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우리나라의 주요 지역들의 인구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서울특별시과 광역시의 인구 변화입니다.
인구 자체로 보면 수도 서울특별시의 인구가 압도적으로 제일 많습니다.
그러나 서울의 인구 변화를 살펴보면 의외로 1990년부터 계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인구 천만 도시 서울'이라는 말 들어보셨지요?
그런데 이미 서울의 인구는 천만명이 깨진지 오래되었습니다.
1990년부터 서울의 인구는 점점 줄어서, 최근 자료인 2020년의 서울 인구는 9,586,195명입니다.
그렇다면 광역시의 경우는 어떨까요?
일단 서울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도시는 부산입니다. 다만 1위 서울과 2위 부산의 인구차이는 매우매우 큽니다.
서울과 부산은 각각 1, 2위의 자리를 한번도 놓친 적 없이 유지하고 있네요.
3위가 재미있습니다.
원래 3위는 대구광역시였어요. 2000년까지 대구의 인구는 전국 3위였습니다.
그러다가 2000년대에 들어 인천광역시에게 역전을 당하게 되죠.
그래서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 3위 도시는 인천광역시입니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광역시도 역시 인구 감소 또는 보합 중입니다.
인구 백만이 넘는 우리나라의 광역시들조차 인구 감소의 광풍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유일하게 인천광역시는 아직 인구 증가 중에 있습니다.
ㅇ
이번에는 특별시, 광역시가 아닌 도의 인구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잘 보세요. 놀라운 사실이 밝혀진답니다.
광역시도 아닌 도인데도 불구하고, 인구가 엄청나게 증가하는 저 빨간 선 보이시죠?
바로 경기도입니다.
인구감소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지만, 경기도는 인구 증가세가 정말 엄청납니다.
서울이 인구 천만이 깨진지 오래 되었죠.
그러나 경기도는 이미 천만이 넘었습니다.
2020년 경기도의 인구는 13,511,676명입니다.
아마 서울에서 유출된 인구가 경기도로 유입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나머지 도의 경우는 광역시와 마찬가지로 감소 또는 보합 중에 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도 중에서 인구 1위는 경기도, 2위가 경상남도, 3위가 경상북도네요.
이제 우리나라의 특징적인 시도를 골라 하나의 그래프로 만들어보겠습니다.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경상남도를 모아볼께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지역은 서울이 아니라 경기도입니다.
경기도의 인구는 약 1,300만명, 수도 서울특별시의 인구는 약 900만명으로 그 차이가 큽니다.
사실 저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인구 1위는 서울로 알고 있었는데, 깜짝 놀랐습니다.
또한 경기도의 인구 증가세도 엄청납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 인구 2위 서울의 경우는 계속적인 인구 감소를 겪고 있습니다.
부산과 경상남도는 인구 3위를 놓고 엎치락 뒤치락 중입니다.
포커스를 바꾸어볼께요.
서울, 경기, 인천광역시 이 세 지역을 묶어서 수도권이라고 하죠?
2020년을 기준으로 이 세 지역의 인구를 합치면 총 26,043,325명입니다. 엄청난 숫자죠?
2020년의 대한민국 총 인구가 51,829,136명이니까요.
결론적으로 서울, 경기, 인천 이 세 지역에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이 거주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도권 인구 집중이 심각한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주요 지역의 인구 변화를 살펴보았습니다.
경기도만 인구 증가 중에 있고, 그 외의 지역은 감소 혹은 보합 중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도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지요.
앞으로의 지역별 인구 변화는 어떻게 될까요?
또한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은 계속될까요?
통계 읽어주는 남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통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에는 어떤 성씨(姓氏)가 가장 적을까요?(희귀 성씨) (0) | 2024.04.11 |
---|---|
우리나라에는 어떤 성씨(姓氏)가 가장 많을까요? (0) | 2024.04.09 |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일까요?(청소년의 고민거리) (0) | 2024.02.24 |
우리나라는 남자가 많을까? 여자가 많을까?(우리나라의 성비, 지역별 성비) (0) | 2024.02.23 |
충격적인 우리나라의 총 인구 변화 (0) | 2024.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