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통계 읽어주는 남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의 출산율 변화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너무 낮아서 큰 문제라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셨을 거에요.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어떻게 변화하여 왔을까요?
과거에도 이러한 출산율 문제가 있었을까요?
과연 우리나라의 출산율 문제는 정말로 심각한 걸까요?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통계청 자료를 살펴볼께요.
1970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도별 합계출산율의 변화입니다.

한 눈에 보아도 그래프의 모양이 뭔가 심상치 않지요?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심각하게 낮아지는 중입니다.
1970년부터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계속해서 엄청난 기세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마치 하락세를 겪고 있는 주식을 보는 것 같네요. 끔찍합니다.
이 통계는 연도별 합계출산율을 조사한 자료인데요.
통계자료를 좀 더 이해하기 위해서 '합계출산율'의 의미를 알아볼께요.
'합계출산율'이란 한 여자가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합계출산율'이란 한 여성이 평생동안 낳는 아이의 수를 말해요.
1970년의 합계출산율은 4.5명이었습니다.
한 여성이 평균 4명에서 5명의 아이를 낳는 시절이었지요.
지금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상상할 수 없는 현상이네요.
약 50년이 지난 현재, 2022년의 합계출산율은 0.7명입니다.
한 여성이 평생 1명의 아이도 낳지 않는다는 거에요.
정말 심각한 수준입니다.
다행히도, 정부에서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시행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계속적으로 하락할까요? 극적인 반전을 보여줄까요?
통계 읽어주는 남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통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부부의 평균 결혼 연령은 몇 세일까요? (0) | 2024.04.16 |
---|---|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은 몇 세일까요? (0) | 2024.04.15 |
우리나라에는 어떤 성씨(姓氏)가 가장 적을까요?(희귀 성씨) (0) | 2024.04.11 |
우리나라에는 어떤 성씨(姓氏)가 가장 많을까요? (0) | 2024.04.09 |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일까요?(청소년의 고민거리) (0) | 2024.02.24 |
댓글